Post

Next에서 Github Action으로 CI 시간 단축하기 (with. Yarn)

개발을 진행하다보면 빌드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로 계속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를 미리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보통 뒤 늦게 배포 시기에 해당 문제를 알아차리고는 합니다.
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I(Continuous Integration)를 구성할 수 있고 CI는 Github를 사용중이라면 Github Action을 통해 간단히 구성해볼 수 있습니다.

최근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또한 CI를 구성하였고, 이 과정에서 CI 시간을 성공적으로 단축한 방법을 소개합니다.

본 글은 Next.js 14.2.5, Node.js 20.18, Yarn 4.4.0 패키지 매니저를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
Workflow

아래는 처음 작성한 CI 워크플로우 입니다.

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의존성 설치 이후 빌드 커맨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name: CI

on:
  pull_request:
    branches: [main]

jobs:
  build:
    runs-on: ubuntu-latest

    steps:
      - name: Check out current commit (${{ github.sha }})
        uses: actions/checkout@v4

      - name: Enable corepack
        run: corepack enable

      - name: Set up node v${{ env.NODE_VERSION }}
        uses: actions/setup-node@v4
        with:
          node-version: "20.16.0"

      - name: Install pacakges
        run: yarn install

      - name: Build
        run: yarn build

해당 워크플로우를 통해 CI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image

간단하지만 CI 환경을 구축한 덕분에 이제 빌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바로 확인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하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남아있습니다. 바로 CI를 완료하는데 총 2분 12초가 소요된다는 점입니다. 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? CI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빌드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.

Cache

의존성 캐싱

첫 번째로 생각해낸 방법은 바로 의존성을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 입니다. CI가 반복적으로 실행될 때 의존성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기존에 설치한 의존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? 즉, 의존성 설치 결과를 Caching 할 수 있지 않을까요?

Cache action을 사용한다면 이러한 아이디어를 쉽게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name: CI

on:
  pull_request:
    branches: [main]

jobs:
  build:
    runs-on: ubuntu-latest

    steps:
      - name: Check out current commit (${{ github.sha }})
        uses: actions/checkout@v4

      - name: Enable corepack
        run: corepack enable

      - name: Set up node v${{ env.NODE_VERSION }}
        uses: actions/setup-node@v4
        with:
          node-version: "20.16.0"

      - name: Get yarn cache directory path
        id: yarn-cache-dir-path
        run: echo "dir=$(yarn config get cacheFolder)" >> $GITHUB_OUTPUT

      - uses: actions/cache@v4
        id: yarn-cache
        with:
          path: ${{ steps.yarn-cache-dir-path.outputs.dir }}
          key: ${{ runner.os }}-yarn-${{ hashFiles('**/yarn.lock') }}
          restore-keys: |
            ${{ runner.os }}-yarn-

      - name: Install pacakges
        run: yarn install

      - name: Build
        run: yarn build

Cache actionpath에 속하는 파일들을 캐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한 캐시 키를 생성합니다. 이후 워크플로우가 다시 실행될 때 저장 된 캐시 키를 기반으로 캐시를 조회하여 일치하는 캐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캐시를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.

Cache action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다른 환경에 대한 스크립트가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의 예제 파일을 확인해주세요.

이렇게 Caching이 적용된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어볼 수 있습니다.

Before Caching image

After Caching image

위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Fetch step의 소요시간이 0초에 가깝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Fetch stepResolution step에서 생성된 dependency tree를 가지고 fetch로 요청해 각 dependency 설치를 합니다. 이 과정에서 만약 .yarn/cache에 dependency가 존재한다면 새로 설치 하지 않고 cache에 존재하는 파일을 사용합니다.

Yarn Install Architecture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.

따라서 우리는 이를 통해 Cache action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의존성을 설치하는 단계만 본다면 13초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전체 과정을 살펴보면 저장된 캐쉬를 불러오는 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4초 정도를 제외해야합니다.

image

따라서 의존성 캐싱을 적용한 결과 평균적인 CI 실행 시간이 8초 정도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
CI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지만 이정도에서 만족하기는 아쉽겠죠. 따라서 다른 방법을 함께 찾아보았습니다.

빌드 캐시

두 번째로 생각해낸 방법은 바로 빌드 시간을 단축하는 것 입니다. 사실 전체 워크플로우가 실행되는 시간을 살펴보면 빌드 시간이 약 1분 20초 정도로 가장 긴 시간을 차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위와 같은 캐싱 방법을 적용한다면 이 시간을 줄여볼 수 있지 않을까요?

image

Next에서는 이러한 CI 시간 단축을 위한 Caching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바로 .next/cache 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. 이곳에는 빌드 과정에서 공유될 수 있는 캐시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Next Build Cache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빌드 캐시를 사용할 수 있게 워크플로우를 수정하면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name: CI

on:
  pull_request:
    branches: [main]

jobs:
  build:
    runs-on: ubuntu-latest

    steps:
      - name: Check out current commit (${{ github.sha }})
        uses: actions/checkout@v4

      - name: Enable corepack
        run: corepack enable

      - name: Set up node v${{ env.NODE_VERSION }}
        uses: actions/setup-node@v4
        with:
          node-version: "20.16.0"

      - name: Get yarn cache directory path
        id: yarn-cache-dir-path
        run: echo "dir=$(yarn config get cacheFolder)" >> $GITHUB_OUTPUT

      - uses: actions/cache@v4
        id: yarn-cache
        with:
          path: |
            ${{ steps.yarn-cache-dir-path.outputs.dir }}
            ${{ github.workspace }}/.next/cache
          key: ${{ runner.os }}-nextjs-${{ hashFiles('**/yarn.lock') }}-${{ hashFiles('**/*.js', '**/*.jsx', '**/*.ts', '**/*.tsx') }}
          restore-keys: |
            ${{ runner.os }}-nextjs-${{ hashFiles('**/yarn.lock') }}-

      - name: Install pacakges
        run: yarn install

      - name: Build
        run: yarn build

이제 우리는 의존성 설치 결과 뿐 아니라 빌드 결과 또한 캐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변경된 워크플로우를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image

결과적으로 기존에 1분 20초 정도 걸리던 빌드 시간을 49초까지 줄여볼 수 있었습니다. Cache action을 실행하는 시간이 그만큼 늘어났지만 이를 감안해도 전체 CI 실행 시간이 약 30초 정도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
Conclusion

Next에서 Github Action을 통해 CI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 30초가 크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의존성, 빌드 파일의 크기에 따라 이러한 캐싱은 더 큰 효용을 낼 수 있습니다. 개발 중 지속적인 통합 환경을 확보하는게 중요한 만큼 그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더욱 고민해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.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